Page 398 - 2022후계농육성사업매뉴얼 (EBook)
P. 398

2022 후계농업인 육성사업 담당자 매뉴얼

                                                                                                                                  5. 청창농 지자체 담당자 ’22년 사업설명회_주요Q&A




          Q. 선정자 본인이 이수한 시간 확인 가능 여부                                                                 ● 조회
            교육시간 사후관리에서 담당자가 확인하는 방법 말고 선정자 본인이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Q. 타 시도 포기자의 전입 후 신청 검증 절차
            없나요? 본인이 몇 시간 이수했는지 문의가 많이 옵니다. 그때마다 제가 계산해서 알려 드
                                                                                                       타 시도에서 포기한 사람이 저희 시도에서 전입을 와서 신규 신청이 가능한지요? 검증할
            려야 합니다.
                                                                                                       수 있는 절차가 있을까요
          A. 현재 개선중입니다.
                                                                                                     A. 아그릭스 센터와 소통 후 답변 가능합니다.
            아그릭스 상에서 청년 후계농 본인이 직접 들어가서 본인이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없습니
                                                                                                       포기를 하신 경우, 만일 지원금을 1회라도 받으신 케이스가 있다면 그 부분은 메시지가
            다. 저희도 해당 불편함을 알고 있습니다. 저희가 내년 사업에 청년후계농이 본인의 현황을
                                                                                                       팝업되어 확인이 가능합니다. 신청서 상세 화면에 들어가게 되면 바우처 한도를 받은 내
            알 수 있는 기능을 만들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내년 기능개선 사업에 해당 기능을 추가할
                                                                                                       역이 존재한다고 나옵니다. 다만 본인의 지역에 관련된 선정자나 신청자만 조회가 가능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청년 후계농이 본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23년도부터 사용할
                                                                                                       하기 때문에, 타 시도의 조회는 어렵습니다. 이 경우, 아그릭스 운영 센터 쪽으로 연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신 다음에 저희 쪽에서 답변을 해드리는 방식으로 가야 할 것 같습니다. 추후 시스템
                                                                                                       개정을 협의하도록 하겠습니다.

          Q. 교육시간 이관된 교육의 목록 제외 혹은 별도 표기 바랍니다.
            교육시간 관리 화면에서 교육시간 이관을 하면 이관된 교육은 목록에서 빠지거나 음영표시                                          Q. 아그릭스내 건보료 상세 설명 표기 요청
            가 되거나 하면 좋겠습니다.
                                                                                                       청년창업농 신청시 제출하셨던 건강보험료 산정을 위한 서류가 미흡하여 신청분들 모두
                                                                                                       에게 연락을 다시해서 서류를 받았습니다. 신청자 분들도 지침에 건보료에 대한 자세한
          A. 농업교육포털 데이터이기 때문에, 가능 여부 확인 후 조치하겠습니다.
                                                                                                       설명이 없다고 정확히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 명시되어있으면 좋겠다고 하셨는데 지침이
            해당 데이터는 농업 교육 포털에서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교육을 이수한 내역을 연계로 저희                                           나 아그릭스 신청 페이지에 건보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표기해주실 수 없을까요.
            한테 전달 주시는 데이터입니다. 본 데이터는 매일 갱신이 됩니다. 만일, 18년도에 대한 교                                                                                                          Q & A
            육으로 여기 있는 5개를 이관을 시켜 빼게 되면, 그다음 날 새로운 데이터가 넘어와서, 이                                       A. 이미 표기된 부분입니다.
            부분이 다시 생성이 됩니다. 그래서 불편하신 부분이 어떤 것인지는 제가 정확하게 알고있
                                                                                                       아그릭스 시스템에 신청을 할 때 필요한 서류들을, 어디서 다운받고 어떻게 발급받을 수
            습니다. 가능하다면 적용이 되도록 진행을 해보겠습니다.
                                                                                                       있는지 자세한 안내가 되어 있습니다. 해당 부분을 모두 읽어야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자동화
          Q. 지원금 한도 입력의 자동화 및 한도 변경 시스템 건의
            아그릭스에 분기별 지원금 한도입력을 각지자체 담당자가 매월 한명 한명 씩 입력하고 있는
            데, 한도가 자동으로 입력되고, 의무 사항 위반이나 기타 사유 발생하면 지원금 한도를 변경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뤄지면 좋겠습니다.

          A. 현재는 어렵습니다.
            생각하지 못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변수가 많이 발생하고, 데이터 관리가 실질적으로 이
            뤄지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즉각적인 반영이 어렵습니다. 선정자 선정 정보가 명확하게 이
            뤄진다는 전제와, 전체적인 시스템 개편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398                                                                                                                                                     399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