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3 - 2022후계농육성사업매뉴얼 (EBook)
P. 403

2022 후계농업인 육성사업 담당자 매뉴얼

                                            5. 청창농 지자체 담당자 ’22년 사업설명회_주요Q&A



 ● 재해 보험       ● 안내

 Q. 재해보험 가입의 상세  Q. 신청자들에게 서류의 명확한 제출 서류를 기입바랍니다.
 축산의 경우 위탁우와 본인소를 같이 키울시 재해보험은 어떻게 들어야 하나요? 축협에서  신청자 분들은 본인이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를 제출해야하는지 건보료 납입증명서를
 는 본인소만은 따로 재해보험을 들 수 없고 전체소에 대해서만 재해보험을 들수 있다고 합  제출해야하는지 전혀 모르고 계십니다. 추후라도 자세하게 상황에 따른 건보료 제출서류를
 니다.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x) 지역가입자, 지역가입자/-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확인서/피부양자/-자격득실확인서
 A. 일괄 답변은 어렵습니다.
 농협 측에서는 부분적으로만 재해보험 가입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하시니 다 함께 드는 것이   A. 가능하면 그렇게 안내문구를 수정하겠습니다.
 맞는 것 같습니다. 재해보험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 인축협의 조건에 부합해서 들으셔야 할   안내 문구를 다시 한 번 확인해 보고 세부적으로 명시할 수 있으면 그렇게 수정을 하겠습니다.
 것 같습니다. 위탁우가 많아서 보험 가입이 어렵다는 것은 대상자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저희가 (일괄적으로) 불가 여부를 말씀드릴 사항은 아닌 것 같습니다.
               ● 제도 안내
               Q. 융자금 사용 기한 연장 안내 관련 문의
 ● 서류
                 융자금 사용 기한 연장 안내를 2018년 이후 대상자들에게 다 안내를 해야 되나요
 Q. 법인 퇴직 후의 확인
 법인 퇴직 후의 증거 서류는 어떤 것이 있나요?  A.홍보가 되어 있으며, 지자체 단위로 추가 안내시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청년농 카페등에서 이미 홍보가 되었습니다. 지자체에서도 필요하실 경우에, 개별적인 안
 A. 건강보험입니다.
                 내를 통해 잔여 자금 사용 안내를 할 경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8~19년도 선정자들 중후
 법인에서 급여를 받았다면 건강보험을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계농 자금이 남아 있다면 22년까지 사용할 수 있음)                  Q & A




               ● 절차 개선
 ● 사업 구분
               Q. 오프라인 서류 취합 방식이 힘이 듭니다.
 Q. 신청서 구분에 대한 지침 문의입니다.
                 농정원에 후계농 대상자 지자체 추천 후 신청서와 첨부서로까지 보내야 되는 걸로 아는데
 후계농 사업지침에 청창농,후계농,청년창업보육센터 구분하여 신청서를 접수하라고 되어
                 다른 개선 방법이 없을까요. 경영 일지 1년 치 복사하는 것도 너무 힘듭니다. 농정원에 서류
 있는데, 사업별로 신청하라는 말인지요. 후계농 신청서에 구분하여 기재라하는 말씀일까
                 보낼 때 파일로 전송하면 되지 않을까요?
 요?
               A. [추가답변 예정]
 A. 개별 사업으로 신청 바랍니다.
                 지금 현재 오프라인으로 신청이 되어 있어서 저희들이 이 부분은 올해 중에 후계농도 온라
 사업이 별도로 운영이 되기 때문에 각각 신청을 하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청년 창업용
                 인으로 신청할 수 있는 기능을 내년 중에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올해까지는 이것이
 으로 신청하실 분은 청년 창업용으로 신청을 하시고 후계농 신청하실 분은 후계농 신청하시
                 검증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여서 올해까지는 그렇게 보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파일전송도
 고 청년 창업 보육센터 신청하실 분은 또 그 사업에 따른 별도로 각각 신청을 하라라는 의미
                 가능하나 전송된 파일에 대한 훼손 및 오류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미확인에 대한 책임은
 입니다.  별도로 표시를 하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지자체에 있습니다.




 402                                                                       403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