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7 - 2022후계농육성사업매뉴얼 (EBook)
P. 347

2022 후계농업인 육성사업 담당자 매뉴얼

                                                                  3. 지원_주요 Q&A




 [지원] 후계농 정책자금  Q. 후계농 정책자금의 금액과 상환기한은?
              A.  ●  후계농 정책자금은 세대당 최대 3억원을 받을 수 있으며, 상환 조건은 5년 거치 10년 분
                  할입니다.
 Q.  후계농 대상자 선정통보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  정책자금은 선정자별 3억 한도로 일괄 배정돼있으나, 개인별 금융 상황에 따라 융자
 A.  명단 갱신 또는 관계기관에 통보가 되지 않아 대출시행기관에서 후계농대상자 확인을 하지 못  가능 금액은 다를 수 있습니다.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후계농 대상자 선정통보 절차는 다음과 같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8년 이후 선정된 기존 후계농 및 청년후계농 경우 최대 3억의 육성자금 중 사용한 금액
                    을 제외한 잔여액에 대하여 (청년)후계농 선정 후 5년차까지 신청 및 사용 가능
 (청년)후계농신청             예) ’18년 선정자 ‘22.12.31까지, ’19년 선정자 ‘23.12.31까지, ’20년 선정자 ‘24.12.31
 (청년)후계농신청         까지, ’21년 선정자 ‘25.12.31까지, ’22년 선정자 ‘26.12.31까지 대출가능
 (지자체)
                                                    ’20년 이후      ’22년 이후
 최종 선정인원 통보           구분         ’19년 이전 실행조건       실행조건         실행조건
 (시·군·구→시·도→농식품부)
                  신청 및 실행 기한       최초 대출 실행 연도의 차년도까지            2개월 중단
 최종 선정인원 알림
 (농식품부→농협중앙회→단위농협)   상환기간       3년 거치 7년 분할상환         5년 거치 10년 분할상환
                                                               일괄 3억 또는
                     자금한도         수요조사 신청액          일괄 3억      사용금액 제외한
                                                                  잔여액
                                ’22년부터 신청 및 실행 기한 변경하여, 기존 실행액을 제외한 잔여
 Q.  후계농 대상자 선정통보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비고
                                액 신규실행조건으로 융자 가능
 A.  청년후계농 및 후계농은 선정 후 5년까지 언제든 정책자금 신청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 코로나19상황에 따라 사업추진확인(계획)서는 교육수료 전 우선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단, 당해연도까지 후계농업경영인 경영교육을 반드시 받으셔야 합니다.                                           Q & A
    * 청년후계농은 필수교육 전체 수료로 갈음 가능   Q. 후계농 정책자금의 필요한 대출 서류는?
 -  기존 후계농 중 청년후계농으로 선정된 인원은, 최대 3억의 육성자금 중 기존 사용한 금액을 제  A.  아래 서류 목록은 시군구 및 농업기술센터 담당자가 확인하고 발급해 드립니다.
 외한 잔여액에 대하여 청년후계농 선정 후 5년까지 신청 및 사용 가능  -  대상자 선정통보문서(대상자확인서), 사업계획서 사본, 사업추진(계획 또는 실적) 확
                 인서, 소요금액 증빙자료 등
 [ 사업자금 대출 절차 ]
                 * 증빙자료 예시: 계약서, 세금계산서, 영수증, 청구서, 견적서, 금융거래자료 등
 사업추진확인(계획)서 발급  사업추진확인(계획)서 제출
 (읍·면·동)  (지역 단위조합)  - 청년후계농 선정자는 ’후계농업경영인 확인서‘ 추가 제출
                - 사전과 사후 대출시에 따라 서류와 방법이 다르니 지침을 참고
 대출기관 대출신청 접수
 (대출 부적격 검토)

 대출심사 실시
 (농신보, 담보 등 채권보전 조치,
 대출가능액 산출 )   Q. 후계농 정책자금 신청시 사업장 또는 주소지 관할 외 농협에서도 대출이 가능한가요?

 대출 약정  대출금 지급  A.  사업장 또는 주소지 관할 외 농협에서 대출이 가능합니다.
 (대출거래 약정서 등 융자계약 체결)  (사업대상자 또는 시설 공여자)  * ‘사업추진(계획/실적) 확인서’ 상에 대출받고자 하는 대출 취급기관을 명시하며, 명시된 대출
                취급기관에서만 대출이 가능
    * 지자체 방문 전 대출시행기관 우선 방문하여 융자가능 여부 및 금액 확인을 권고합니다.

 346                                                                       347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