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7 - 2022후계농육성사업매뉴얼 (EBook)
P. 187

2022 후계농업인 육성사업 담당자 매뉴얼                                  별첨. 후계농업경영인 관련 서식 및 참고자료










 ■ 세대구분  :  (    )단독세대    /  (  )공동세대(부모)
 평가  평가          평가   평가
 평가내용  평가척도      지표   항목              평가내용                      평가척도
 지표   항목
 적정  미흡  부적정                                           상    중     하     없음/
 품목                                                    (5)  (3)   (1)   미제출
 1. 영농  품목을  명확하게  제시하였는가?  (5)  (3)  (0)  9. 농업  및  생산관련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가?  (0)
 선정                                                    □    □     □      □
 □  □  □
 (5)              전  자격증   평가방법  :  자격증  및  인증서  사본  등  증빙자료를  확인하여  점수  부여        후계농업경영인 육성사업
 평가방법  :  사업계획서에  영농품목이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는지를  파악하여  점수  부여  문  보유
 적정  미흡  부적정      성   수준  ※ 상(5점)  :  친환경,  GAP,  HACCP  등의  인증  취득  or  국가공인(한국산업인력공단  발급  등)  농식품과  직접적으로
 영농               (5)   (5)     관련된 자격증 보유 및 제출
 2. 영농방법은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는가?  (5)  (3)  (0)    중(3점)  :  국가공인(한국산업인력공단  발급 등)  농식품과  간접적으로  관련된  자격증  보유  및  제출
 방법                          하(1점)  :  일반협회  및  단체에서  발급하는  농식품  관련  자격증  보유  및  제출
 □  □  □
 (5)                       - 자격증  보유내역  :
 평가방법  :  사업계획서에  영농방법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지를  파악하여  점수  부여  - 인증종류  :    인증취득일자  :
 구간평균  구간평균  구간평균                                       양호       보통      불량
 사업  초과  (평균치 ±10%)  미만   10. 농업경영인의  신용능력은  양호한가?       (10)    (5)      (0)
 영농  3. 영농규모는  어떠한가?
 계획  (5)  (3)  (0)  재정  신용                               □       □        □
 규모              상태   상태
 구체  □  □  □      (10)  (10)  평가방법  :  정책자금  등  대출을  통하여  자금을  마련할  계획이  있는  자는  신용도에  따라  대출이  불가
 (5)  평가방법  :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품목과  영농방법을  고려할  때  영농규모의  적정여부를  판단하여  점수  부여  능한  경우가  발생하므로  금융기관(농협)  신용조사서[농림축산식품분야  재정사업관리  기본규정  별지  제
 성                        6호  서식]  등을  기반으로  신용능력을  확인하여  점수부여  및  연체  및  부도가  없는  경우  각  5점(최대  10점),  하나라도
 (‘농림축산식품통계연보’참조(농식품부 홈페이지 자료실 열람가능)  있는  경 우  5점,  둘  다   있는  경 우  0점
 (25)   적정  미흡  부적정                                    있음                없음/
 생산                       11. 농업경영이나  생산활동과  관련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  (5)      미제출
 4. 생산계획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고  타당한가?  (5)  (3)  (0)  수상  수상  단체, 농업인단체 등으로 부터 받은 수상경력이 있는가?  (0)
 계획              실적   여부
 □  □  □          (5)   (5)                             □                 □
 (5)  평가방법 :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생산계획의 구체적인 정량적 목표와  실현가능성을 판단하여 점수  부여  평가방법 :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농업인단체 등에서 받은 수상내역을 확인하여 점수 부여(단, 감사패 등은 인정되지 않음)
                                     수상일 :                                              발행기관  :
 적정  미흡  부적정
 5. 생산물  판매를  위한  판로  및  유통망이  구체적으로  영농               주1회  월1회  분기1회  기타  미작성
 판매  (5)  (3)  (0)    기록  12-1.  영농기록을  작성하여  보관하고  있는가?  (5)  (4)   (3)  주기  (0)
                                                                     (2)
                            (최근  2년간,  2020.1.1.~2021.12.31)
 제시되었는가?              작성
 계획  □  □  □     영농   여부                                □   □    □   □    □
 (5)  평가방법  :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판매계획에  판매시스템  및  마케팅  전략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는지를   기록  (5)  평가방법 : 경영장부, 영농일지 등을 통해 주기적으로 영농에 관련된 사항을 작성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점수 부여
 판단하여 점수 부여       (10)   영농  12-2.  영농기록이  구체적으로  성실히  작성되었는가?  우수(5)  보통(3)  미흡(1)
                      기록
 적정  미흡  부적정         성실성                                  □      □      □
 자금  6. 향후 영농 규모화를 위한 자금마련 계획은 실현 가능한가?  (5)  (3)  (0)  (5)  평가방법  :  경영장부,  영농일지를  구체적이고  성실히  작성하고  있는지를  정성평가하여  점수부여
 마련                                                     적정       미흡      부적정
 사업  □  □  □          장기                                 (5)     (3)      (0)
 계획   계획   평가방법  :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사업자금  융자,  자체조달  등  자금마련계획이  현실가능토록  수립되어   영농  13. 중장기  영농계획이  연도별로  구체적으로  수립되었는가?  □  □  □
                      계획
 실현   (5)  있는지를 판단하여 점수 부여   영농  (5)  평가방법  :  중장기  사업계획이  연도별로  구체적인  정량적  목표가  제시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점수부여
 가능              비전                                     적정       미흡      부적정
 성   경영  있음  없음   (10)  중장기  14. 사업수지  분석을  실시하였는가?      (5)     (3)      (0)
                      수지
 (10)  전문화  7. 경영개선을 위해  컨설팅 및 코칭  추진  실적이  있는가?  (5)  (0)  분석   □  □     □
 의지  □  □             (5)  평가방법  :  중장기  사업계획에  포함된  수지전망이  구체적으로  작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점수  부여
 (5)  평가방법  : 사업계획서에 컨설팅 및 코칭을 통해 경영개선 실적(3년 이내)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점수 부여  평균치  평균치의  평균치의  평균치의  평균치의
                                                                         70%
 8-1  농업계  관련  학교(학과)를  졸업하였는가?  농업계  비농업계  15. 농업경영인  본인의  경작농지는  어느  정도인가?  이상  90~99%  80~89%  70~79%  미만
                                                                 (6)
                                                            (8)
                                                        (10)
                                                                     (4)
                           ※ 임대를  포함하며,  공동세대일  경우  부모  농지  포함
 학   교   명:  (10)   (0)  영농  영농                         □   □    □   □    (2)
                      규모
                 규모
                                                                          □
 학과 및 전공:  □  □   (10)  (10)  평가방법  :  등기부등본을 통해  소유농지와  주작물을  파악하여  작목별  평균면적과  대비하여  점수 부여
 평가방법  :  최종학력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확인하여 점수를 부여       (다만,  공동세대일  경우,  부모 소유농지 포함)  2
                                          2
                             본인 경작농지 :            m                부모 경작농지 :          m                 주작물 :
   (증빙자료  :  성적증명서,  앨범,  학위증명서  등  최종학력  증명  가능한  자료)  있음                없음
 최종  ※ ‘그 외’의 경우 아래 8-2번 문항의 교육이수 시간을 확인하여 점수 부여 가능  정부  16. 공동체, 생산자 조직, 농정참여 등의 활동을 하고 있는가?  (5)  (0)
 학력              정책   정책                                □                 □
 학력   8-2.  최근  3년(2019.1.1∼2021.12.31)  내  이수한  전체  농업  100  70  40  20  14  14  참여  참여도  평가방법  :  재해보험가입  가입,  자조금단체,  들녘경영체,  농민단체, 농정정책심의기구, 작목반, 품목별  연구회
 및                도   (5)      활동여부  확인하여  점수 부여(단, 농산업, 지역봉사 등을 목적으로  한 활동만 인정됨에 따라  동창회
 및   교육이수  시간은  얼마나  되는가?   이상  ~99  ~69  ~39  ~19  미만  (5)  등 친목활동은 불인정됨)
 교육
 교육  (10)  (7)  (5)  (3)  (1)  (0)  조직명 :                                                             가입일  :
 이수  ※ 농고․농대 졸업자가 아닌 자에 한하여 평가
 (10)  □  □  □  □  □  □
 실적  평가방법  :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지자체  및  그  소속기관,  직업교육훈련기관  등에서  주관  또는
 (10)  인정한 농업교육으로 최근 3년 이내(2019.1.1∼2021.12.31)실시한 것을 기준으로 하며, 농업법인 근무경력   종합점수  (100점  만점)  점
 3개월 이상인 자, 농산업분야 인턴 및 선도농가 현장실습 3개월 이상인 자의 경우에는  만점부여
   (증빙자료  :  교육수료증,  인턴  급여내역  등  증명  가능한  자료)                년     월    일
 ※ 농업관련 온라인 및 사이버교육도 인정, 다만 50%만 인정하며, 최대 50시간까지만 인정
 (예시 : 온라인 교육 4시간은 2시간으로  산정하여  점수  부여)  평가자   소  속  연  락  처     성  명
                                                                         (인)
 186                                                                       187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