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체의 역량 향상을 통한 쌀 산업 경쟁력 제고 및 활로 모색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18년 쌀산업 선도경영체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구분 |
교육기간 (일/h) |
교육내용 |
교육기관/ 담당자 |
---|---|---|---|
① 핵심리더 양성 교육과정
교육대상: 쌀생산자 단체 임직원 |
4.18. ~ 7월 |
• 공동농업경영체 지정 및 등록 안내 - 공동농업경영체 법적 지정에 대한 대응방안, 지정요건과 절차, 회원카드 작성 및 관리 방안 • 쌀 공동농업경영체 특성에 부합하는 조직화 전략 수립 - 운영규약, 조직운영 체계도, 참여농가 관리 방안, 사업운영계획 수립 우수사례 벤치마킹 등 * 전문 퍼실리테이터를 활용한 실습중심의 참여형 교육과정 운영 |
지역아카데미 (070-8666-4301) |
② 쌀 적정생산 활성화 교육 |
|
|
|
- 도별 벼 대체 지역특화 작부체계 기술 교육
교육대상: 쌀 전업농, 들녘경영체회원 등 생산자 단체 |
4.16.~8.31 1박2일(15시간) 합숙 |
• 쌀 의무자조금의 효과적 도입·운영방안에 대한 이해 • 쌀 생산조정제 도입 이해(논 타작물 재배 확대 정책 이해) - 농촌진흥청의 벼 대체 작부체계기술교육 시범사업 등 • 논 타작물 발굴 및 다양한 벼 대체 작부체계 이해?활용 - 대체작물별 고품질 재배기술(맥류, 콩, 옥수수 등) 및 농약안전사용기준 등 * 권역(지역)별 전환작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핵심애로기술 중심으로) 교육 실시 • 논 타작물 전환 우수사례 |
농업회사법인 한터 (063-537-1525) |
-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교육
교육대상: 들녘경영체 임원 및 회원 |
4.12.~7.27. 3박4일(32시간) 합숙 |
• 쌀 의무자조금의 효과적 도입·운영방안에 대한 이해 •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의 이해 및 활용방안 • 들녘경영체별 사업다각화 성공?실패사례 분석, 공유 • 현장견학 및 벤치마킹 - 해당 들녘경영체 사업다각화 추진배경, 경과, 문제점 및 개선과제, 활성화 사례 등 벤치마킹 • 우리 들녘경영체 특성에 맞는 사업다각화 유형 도출 - 퍼실리테이팅을 통한 아이디어 도출 및 사업계획 작성 - 사업다각화 계획 수립 및 작성 실무 • 사업다각화 계획 발표 및 상호 토론을 통한 개선사항 발굴 |
한국농업아카데미 (031-677-7592) |
③ 식량산업 핵심기술 교육 |
|
|
|
- 소형농기계 면허취득과정
교육대상: 쌀 전업농, 들녘경영체 회원 등 생산자 단체 |
4.23.∼7.26. 1박2일(15시간) 합숙 |
• 쌀 의무자조금의 효과적 도입·운영방안에 대한 이해 • 농작업 재해 예방 및 농업기계 안전사용 교육과정 ※ 별도 교재 제공 / 농정원 실시 예정인 전수교육 참여 • 소형농기계 운영법규의 이해 • 소형농기계 설명 및 유압기관에 대한이해와 실습교육 |
한국들녘경영체 중앙연합회 (063-224-0229) |
7.5.~7.31. 1박2일(15시간) 합숙 |
유니언건설기계 운전학원 (031-658-8200) |
||
- 농업용 드론 면허취득과정
교육대상: 쌀 전업농, 들녘경영체 회원 등 생산자 단체 |
4.16.~8.10. 18일(144시간) 비 합숙 |
• 쌀 의무자조금의 효과적 도입·운영방안에 대한 이해 • 농작업 재해 예방 및 농업기계 안전사용 교육 ※ 별도 교재 제공 / 농정원 실시 예정인 전수교육 참여 • 무인비행장치(드론) 조종 이론 - 항공·전파법규, 항공기상, 항공역학, 비행이론 • 무인비행장치(드론) 조종 실습 - 원주비행, 방제준비, 살포준비, 솔로비행 실습 등 |
한국들녘경영체 중앙연합회 (063-224-0229) |
구분 |
교육기간 (일/h) |
교육내용 |
교육기관/ 담당자 |
---|---|---|---|
④ 해외 식량산업 벤치마킹 연수 |
|
|
|
- 식량작물 재배현장 우수사례벤치마킹 교육대상: 들녘경영체 회원, 쌀 전업농 등 쌀 생산자 단체 |
6.27.∼7.1. 4박5일 |
• 고품질쌀 재배기술, 논 타작물 재배정책, 현장 적용사례, 쌀 소비촉진 정책 벤치마킹 • 식량산업 정책 벤치마킹 • 첨단기술을 활용한 고품질 쌀 생산?가공, 유통 |
지역아카데미 (02-976-0369) |
- 식량산업 첨단기술 벤치마킹 교육대상: 쌀 생산조정제 참여도가 높은 지자체 공무원 및 농업인 |
10∼11월 예정 7박9일 |
한국농업아카데미 (031-677-7592) |